대튀르크 전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튀르크 전쟁은 1683년부터 1699년까지 오스만 제국과 신성 동맹 간에 벌어진 일련의 전쟁을 통칭한다. 이 전쟁은 오스만 제국의 빈 포위 공격 실패를 계기로 시작되었으며, 신성 동맹에는 합스부르크 군주국, 베네치아 공화국,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러시아 차르국 등이 참여했다. 주요 전투로는 빈 전투, 모하치 전투, 젠타 전투 등이 있었으며, 러시아는 아조프를 점령했다. 전쟁 결과, 오스만 제국은 카를로비츠 조약을 통해 헝가리, 트란실바니아, 슬라보니아 등을 오스트리아에 할양하고 세력이 약화되었으며,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은 포돌리아를 얻었으나 국력이 쇠퇴했다. 러시아는 흑해 진출의 발판을 마련했고, 베네치아는 달마티아를 획득했다. 이 전쟁은 동유럽의 세력 균형을 변화시켰으며, 합스부르크 군주국의 동유럽 패권 확립과 오스만 제국의 쇠퇴를 가져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대튀르크 전쟁 | |
---|---|
위치 정보 | |
기본 정보 | |
분쟁 | 대튀르크 전쟁 |
일부 | 오스트리아-튀르크 전쟁 폴란드-오스만 전쟁 오스만-베네치아 전쟁 러시아-튀르크 전쟁 |
시기 | 1683년 7월 14일 – 1699년 1월 26일 |
장소 | 중앙 유럽 동유럽 발칸반도 그리스 우크라이나 |
결과 | 신성 동맹의 승리 카를로비츠 조약 체결 합스부르크 군주국이 헝가리, 트란실바니아 공국 및 발칸반도에서 영토 획득 폴란드-리투아니아가 포돌리아 획득 러시아가 아조프 항구 획득 베네치아가 모레아 및 내륙 달마티아 획득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주요 동맹국 신성 로마 제국 베네치아 공화국 폴란드-리투아니아 러시아 차르국 합스부르크 헝가리 교황령 스페인 제국 만토바 공국 카자크 헤트만국 브란덴부르크 변경백국 |
교전국 1a | 기타 동맹국 몰타 기사단 사보이아 공국 성스테판 기사단 몬테네그로 주교후국 |
교전국 2 | 오스만 제국 상헝가리 후국 크림 칸국 왈라키아 공국 몰다비아 공국 트란실바니아 후국 지원국 프랑스 왕국 (1689~1697) |
교전국 2a | 기타 동맹국 이집트 에얄레트 튀니지 에얄레트 알제리 섭정국 |
지휘관 | |
지휘관 1 | 레오폴트 1세 라이몬도 몬테쿠콜리 요한 게오르크 3세 외젠 드 사부아 막시밀리안 2세 아우구스트 2세 샤를 5세 루트비히 빌헬름 안토니오 제노 프란체스코 모로시니 오토 쾨니크스마르크 얀 3세 소비에스키 마르친 카츠키 표트르 1세 바실리 골리친 보리스 셰레메테프 프란체스코 모로시니 오토 쾨니크스마르크 이반 사모일로비치치 이반 마제파 스테판 쿠니츠키 카를로스 2세 만토바 공작 교황 인노첸시오 11세 |
지휘관 2 | 쉴레이만 2세 무스타파 2세 카라 무스타파 파샤 이스마일 파샤 임레 쇠쾨리 무라드 기라이 |
병력 규모 | |
교전국 1 | 88,100명 27,000명 200,000명 |
교전국 2 | 150,000명 |
사상자 | |
교전국 1 | 135,000명 사망 또는 부상 |
교전국 2 | 175,000명 사망 또는 부상 |
군사 사망자 | 384,000명 |
2. 배경 (1667년~1683년)
러시아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으로부터 우크라이나 동부를 획득하고, 보흐단 흐멜니츠키의 반란이 연방에서 일어난 이후, 상당수 코사크들은 연방의 남동부에 머물고 있었다. 그들의 지도자인 페트로 도로셴코는 헤트만, 얀 3세 소비에스키에 대항해 반란을 일으켰고 오스만 제국과 연계하고자 했다.[43]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서부에서의 성공에 고무된 오스만 제국은 합스부르크 군주국을 공격했다. 터키는 거의 빈을 함락할 뻔했지만, 얀 3세 소비에스키가 이끄는 기독교 동맹군이 비엔나 전투(1683년)에서 그들을 패배시켜 오스만 제국의 동남유럽 패권을 저지했다.
오스만 제국 술탄 메흐메트 4세는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이 내분으로 약화되었다는 것을 알고, 1672년 8월 연합 국경에 있는 대도시 카멘네츠포돌스키를 공격했다. 소규모 폴란드군은 2주간 카멘네츠 포위 공격을 견뎌냈지만 결국 항복했다. 폴란드군은 오스만 제국의 침략에 저항하기에는 너무 작았고, 몇몇 작은 전술적 승리만 거둘 수 있었다. 3개월 후, 폴란드는 부차치 조약에 서명하여 카멘네츠, 포돌리아를 할양하고 오스만 제국에 조공을 바치기로 합의했다.[43]
패배와 조약 조항에 대한 소식이 바르샤바에 전해지자, 세임은 조공을 거부하고 소비에스키 지휘하에 대규모 군대를 조직했고, 그 결과 폴란드는 호틴 전투(1673)에서 승리했다. 1673년 미하우 1세 코리부트 비슈니오비에츠키 국왕이 사망한 후, 소비에스키가 폴란드 국왕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4년 동안 오스만 제국을 패배시키려고 노력했지만 성공하지 못했다. 1676년 10월 17일 주라브노 조약으로 전쟁이 끝났고, 터키는 카멘네츠포돌스키만 통제하게 되었다. 이 터키의 공격은 1676년 러시아-터키 전쟁의 시작으로 이어졌다.[43]
합스부르크 가문이 지배하는 오스트리아와 오스만 제국은 30년 전쟁 이후 대립했고, 헝가리와 트란실바니아에서는 분쟁이 끊이지 않았다. 1664년 오스만 제국이 헝가리에 침공했을 때 오스트리아의 장군 라이몬도 몬테쿠콜리가 잔크트고트하르트 전투에서 오스만 제국군을 승리했지만, 서쪽의 프랑스 왕 루이 14세가 영토 확장 야망을 품고 있었기 때문에 오스트리아는 적극적으로 움직일 수 없었다. 바슈바르 조약에서 20년 휴전을 맺고, 오스만 제국의 괴뢰 국가인 트란실바니아 공 아파피 1세 미하이를 인정하며 매년 오스만 제국에 공물을 바치는 등 합스부르크 가문에 불리한 내용을 체결했다. 그 결과 헝가리와 트란실바니아의 반합스부르크파 귀족들이 기세를 올렸고, 1670년 베셰레니 음모의 적발과 탄압, 1678년 테케리 임레의 봉기로 이어졌다.[30]
신성 로마 황제 레오폴트 1세는 상황을 심각하게 보고 헝가리에 대한 탄압을 중단하고, 1681년 절대주의 정책을 철회하여 귀족들의 회유에 힘썼지만, 테케리는 게릴라 활동을 계속했다. 1683년 오스만 제국 대베지르 카라 무스타파 파샤가 테케리의 요청을 받아 출병하여 제2차 빈 포위 공격을 감행했다.[30]
3. 전쟁의 전개
교황 인노첸시오 11세는 신성 동맹을 결성했고, 합스부르크 군주국이 이끄는 신성 로마 제국,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베네치아 공화국이 참여했다.[10] 1686년에는 러시아가 합류했다. 신성 동맹군은 부다를 함락하고, 제2차 모하치 전투에서 오스만 제국군을 대파하는 등 헝가리와 트란실바니아 방면에서 큰 성과를 거두었다.[10]
러시아의 참여는 유럽 열강의 동맹에 공식적으로 참여한 첫 번째 사례였다. 이것은 일련의 러시아-튀르크 전쟁의 시작이었으며, 마지막 전쟁은 제1차 세계 대전이었다. 크림 원정과 아조프 원정의 결과로 러시아는 오스만 제국의 주요 요새인 아조프를 점령했다.
1691년 슬란카멘 전투에서 합스부르크 군주국이 승리하고 오스만 제국의 대 베지르 쾨프륄뤼 무스타파 파샤가 전사하면서 전선은 교착 상태에 빠졌다. 한편, 러시아에서는 표트르 1세가 친정을 시작하면서 아조프 방면으로 Азовские походы Петра I|아조프 원정 (1695년-1696년)|en|Azov campaigns (1695–96)ru을 실시하여 1696년 아조프를 점령하고 흑해로 진출하는 데 성공했다.
1697년 9월 11일, 젠타 전투에서 합스부르크 군주국의 군대는 티서 강(Tisa River)을 건너던 오스만 군대를 기습하여 격파했다. 3만 명이 넘는 오스만 군인을 사살하고 나머지를 흩어놓은 이 결정적인 패배는 오스만 제국이 1699년 1월 22일 카를로비츠 조약을 체결하게 된 결정적인 요인이 되었고, 이로써 대튀르크 전쟁이 끝났다.[29]
1699년 카를로비츠 조약으로 오스만 제국은 헝가리, 트란실바니아, 슬라보니아(현 크로아티아 북동부)를 오스트리아에 할양했고, 포돌리아(현 우크라이나 남서부)를 폴란드에 반환했으며, 달마티아 (크로아티아 남서부) 대부분과 모레아(펠로폰네소스반도)를 베네치아에 할양했다.[44] 이후 모레아는 1718년 파사로비츠 조약을 통해 오스만 제국이 되찾는다.
3. 1. 빈 포위전 (1683년)
오스만 제국은 다뉴브 강 유역(흑해에서 서유럽까지) 남부 유럽과 육로(동지중해에서 독일까지) 무역로를 장악하는 전략적 요충지인 빈을 오랫동안 노렸다. 1529년 첫 번째 포위 공격 이후, 1683년 쾨프륄뤼 가문 출신의 그랜드 베지어 카라 무스타파 파샤는 합스부르크 군주국의 빈을 다시 포위했다. 오스만 제국은 신성 로마 제국으로 이어지는 도로와 다리 보수, 탄약, 대포, 자원 보급 등 군수 준비를 철저히 했다. 1679년부터 비엔나 대역병이 창궐하여 빈은 황폐화된 상태였다.[23]
1683년 7월 14일, 카라 무스타파 파샤는 항복을 요구했으나, 에른스트 뤼디거 폰 스타른베르크 백작이 이끄는 1만 5천 명의 병력과 8,700명의 자원봉사자, 370문의 대포를 갖춘 수비대는 항복을 거부했다. 며칠 전, 페어히톨츠도르프에서 시민들이 항복했으나 학살당했다는 소식이 있었다.[24] 7월 17일, 포위 작전이 시작되었다.
9월 6일, 얀 3세 소비에스키가 이끄는 폴란드군이 빈 북서쪽 30km 지점 툴른에서 다뉴브 강을 건너 황제군, 작센 선제후국, 바이에른 선제후국, 바덴 변경백국, 프랑코니아, 슈바벤의 추가 병력과 합류했다. 루이 14세는 프랑스-합스부르크 라이벌리 관계인 합스부르크 가문을 돕지 않았다. 소비에스키와 황제 레오폴트 1세의 동맹으로 이미 존재하는 연합군에 폴란드 후사르가 추가되었다. 유럽 연합군 지휘는 폴란드 국왕에게 맡겨졌고, 7만~8만 명의 병력을 지휘하여 15만 명의 오스만군과 맞섰다.[25]
9월 초, 5,000명의 오스만 사퍼들이 성벽을 폭파해 12m 너비의 틈을 만들었다. 빈 시민들은 터널을 파서 대응하려 했다. 9월 8일, 오스만군은 부르크 라벨린과 낮은 성벽을 점령했다. 시민들은 내성에서 싸울 준비를 했다.
구원군은 신속히 행동해야 했다. 신성 동맹은 자금, 대출, 교황의 지원으로 지불 문제를 해결했다.[26] 합스부르크가와 폴란드는 폴란드 정부가 폴란드에 있는 동안 자체 군대에 대한 비용을 지불하고, 황실 영토에 진입하면 황제가 지불하는 것으로 합의했다. 황제는 소비에스키의 적군 진영 약탈에 대한 최우선 권리를 인정해야 했다.
카라 무스타파 파샤는 후방 방어를 크림 칸과 약 3만~4만 명의 경기병에게 맡겼다. 오스만 제국은 발라키아와 몰다비아 동맹국을 신뢰할 수 없었다. 조르제 두카스 몰다비아 공작은 사로잡혔고, 세르반 칸타쿠지노의 군대는 소비에스키의 기병 돌격 후 후퇴에 합류했다.[27]
연합군은 칼렌베르크에 도착했음을 봉화로 알렸다. 전투 전 미사가 거행되었다.
오후 6시경, 폴란드 국왕은 기병대에게 공격을 명령했다. 1만 8천 명의 기수들이 언덕을 내려 쳐들어갔다. 역사상 가장 큰 기병 돌격이었다. 소비에스키는 3,000명의 폴란드 중기병, "날개 달린 후사르"를 이끌었다.[25] 립카 타타르인들은 투구에 짚을 꽂아 구별했다. 이 돌격은 오스만 군의 전열을 붕괴시켰고, 오스만 군은 도망치기 시작했다. 기병들은 오스만 진영과 카라 무스타파의 본영으로 향했고, 빈 주둔군은 공격에 합류했다.[25]
오스만 군은 지치고 낙담했다.[25] 기병 돌격은 마지막 치명타였다. 3시간도 채 지나지 않아 기독교 세력은 전투에서 승리하고 빈을 구원했다. 빈에 처음 진입한 기독교 장교는 바덴-바덴 변경백 루트비히였다.[28]
소비에스키는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말 Veni, vidi, vicila을 바꿔서 "Veni, vidi, Deus vicitla" – "왔노라, 보았노라, 신이 승리했노라"라고 말했다.
3. 2. 신성 동맹의 결성과 발칸 반도로의 진격 (1684년~1690년)
교황 인노첸시오 11세의 주도로 신성 동맹이 결성되었다. 합스부르크 군주국,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베네치아 공화국이 참여하였고, 1686년에는 러시아 제국도 합류하였다.[44] 신성 동맹군은 부다를 함락하고, 제2차 모하치 전투에서 오스만 제국군을 대파하는 등 헝가리와 트란실바니아 방면에서 큰 성과를 거두었다.[10]
베네치아 공화국은 아드리아 해, 달마티아, 그리스 방면에서 공세를 펼쳐 1687년에는 펠로폰네소스 반도를 점령하였다. 한편, 러시아는 크림 칸국 원정을 시도했으나 실패했고,[31] 이로 인해 섭정 소피아가 실각하고 표트르 1세의 친정이 시작되었다.
1688년 신성 동맹군은 발칸 반도로 진격하여 세르비아의 도시 벨그라드를 함락시켰다. 그러나 1690년 오스만 제국은 퀴프륄뤼 무스타파 파샤의 지휘 아래 반격을 개시하여 벨그라드를 재탈환하였다.
3. 3. 전선의 교착과 러시아의 아조프 점령 (1691년~1696년)
1691년 슬란카멘 전투에서 합스부르크 군주국이 승리하고 오스만 제국의 대 베지르 쾨프륄뤼 무스타파 파샤가 전사하면서 전선은 교착 상태에 빠졌다.[32] 이 무렵 주요 인물들의 변동이 있었는데, 루트비히 빌헬름은 독일 전선으로 전출되었고, 오스만 제국에서는 술레이만 2세가 사망하고 아흐메트 2세가 즉위했다.[32]
한편, 러시아에서는 표트르 1세가 친정을 시작하면서 아조프 방면으로 Азовские походы Петра I|아조프 원정 (1695년-1696년)|en|Azov campaigns (1695–96)ru을 실시했다.[32] 1695년의 첫 번째 원정은 실패했지만, 1696년의 두 번째 원정에서 아조프를 점령하고 흑해로 진출하는 데 성공했다.[21][22][30][31][32]
3. 4. 젠타 전투와 카를로비츠 조약 (1697년~1699년)
1697년 9월 11일, 젠타 전투는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던 젠타(Senta) 마을 남쪽에서 벌어졌다. 이 전투에서 합스부르크 군주국의 군대는 티서 강(Tisa River)을 건너던 오스만 군대를 기습하여 격파했다.[29] 합스부르크 군대는 3만 명이 넘는 오스만 군인을 사살하고 나머지를 흩어놓았다. 이 결정적인 패배는 오스만 제국이 1699년 1월 22일 카를로비츠 조약을 체결하게 된 결정적인 요인이 되었고, 이로써 대튀르크 전쟁이 끝났다.[29]
1695년 아흐메트 2세가 사망하고 조카 무스타파 2세가 뒤를 이었다. 무스타파 2세는 북상하여 헝가리로 향했지만, 프린츠 외젠은 다뉴브 강을 건너는 도중의 오스만 군을 기습하여, 젠타 전투에서 대승을 거두었다.[32] 이 승리를 계기로 강화 교섭이 진행되었고, 1698년에 폴란드 군도 Bitwa pod Podhajcami (1698)|피드하이체 전투|Битва під Підгайцями (1698)|Битва под Подгайцами (1667)|Battle of Podhajce (1698)pl에서 크림 칸국에 승리했다.[32]
1699년 카를로비츠 조약이 체결되면서, 오스만 제국은 헝가리, 트란실바니아, 슬라보니아(현 크로아티아 북동부)를 오스트리아에 할양했고, 포돌리아(현 우크라이나 남서부)를 폴란드에 반환했으며, 달마티아 (크로아티아 남서부) 대부분과 모레아(펠로폰네소스반도)를 베네치아에 할양했다.[44] 이후 모레아는 1718년 파사로비츠 조약을 통해 오스만 제국이 되찾는다.
4. 전쟁의 결과와 영향
오스만 제국은 카를로비츠 조약을 통해 헝가리, 트란실바니아를 상실하며 동유럽에서의 세력이 크게 약화되었다. 이는 유럽 열강들이 발칸 반도로 진출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오스만 제국의 몰락을 알리는 서막이었다.[32] 술탄은 유럽을 따라잡기 위해 개혁을 시도했으나, 번번이 반대파에 막혀 실패했다.
합스부르크 군주국은 헝가리와 트란실바니아를 획득하며 동유럽의 패권을 확립했다. 30년 전쟁 이후 독일에서의 영향력이 약화되었던 합스부르크 가문은 동유럽을 발판 삼아 새로운 강국으로 성장했다. 그러나 귀족과 성직자의 권력이 여전히 강했고, 절대주의와는 거리가 멀었다. 또한, 라코치 페렌츠 2세가 라코치의 독립 전쟁을 일으키는 등 트란실바니아의 반대 세력은 여전히 건재했다.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은 포돌리아(현 우크라이나 남서부)를 얻었지만, 내정을 소홀히 하여 왕권이 약화되었다. 1700년에 발발한 대북방 전쟁으로 인해 국력은 더욱 약화되었다. 반면, 러시아 제국은 표트르 1세 치하에서 번영을 맞이하여 폴란드에 간섭하고, 대북방 전쟁을 통해 서유럽 열강과 어깨를 나란히 할 정도로 성장했다. 비록 1711년 프루트 강 전투에서 패배하여 아조프를 오스만 제국에 반환했지만, 이후 러시아는 오스만 제국에 대한 간섭을 강화했다.
베네치아 공화국은 달마티아 (크로아티아 남서부)를 얻었지만, 과거의 영광을 되찾지 못하고 쇠퇴해 갔다.
이 전쟁에 참가했던 프린츠 외젠을 비롯한 군인들은 1701년에 발생한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에서 지휘관으로 발탁되었다. 비야르, 제임스 피츠제임스, 막시밀리안 2세는 프랑스 측에서, 외젠과 루트비히 빌헬름, 게오르크 루트비히는 오스트리아 측에서 싸웠다. 게오르크 루트비히는 1698년에 아버지의 뒤를 이어 하노버 선제후가 되었고, 1714년에 영국 왕위에 올랐다.
5. 세르비아와 코소보
1686년 대튀르크 전쟁 중 연합 기독교 세력이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부다를 함락시킨 후, 판노니아 평원 출신의 세르비아인들이 세르비아 민병대라는 별도 부대로 합스부르크 군주국 군대에 합류했다.[12] 세르비아인들은 자원병으로 대거 합스부르크 편에 가담했다.[13] 1688년 상반기에 합스부르크 군대는 세르비아 민병대 부대와 함께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율라, 리파, 보로스예뇨를 함락시켰다.[12] 1688년 벨그라드 함락 이후, 사바 강과 다뉴브 강 남쪽 지역의 세르비아인들이 세르비아 민병대 부대에 합류하기 시작했다.[12]
로마 가톨릭 주교이자 철학자인 피터르 보그다니는 1686년 3월 발칸반도로 돌아와 이후 몇 년 동안, 특히 그의 고향인 코소보에서 오스만 제국 군대에 대한 저항을 촉진했다. 그와 그의 부주교인 토마 라스파사니는 대튀르크 전쟁 당시 코소보의 친오스트리아 운동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14] 그는 프리슈티나에 도착한 오스트리아 군대에 알바니아 군인 6,000명을 지원했으며, 프리즈렌을 점령하는 데 함께했다. 그러나 그곳에서 그와 그의 군대 상당수는 페스트를 만났다. 보그다니는 프리슈티나로 돌아왔지만 1689년 12월 6일 그곳에서 질병으로 사망했다.[15] 그의 조카인 그예르그 보그다니는 1698년에 그의 삼촌의 유해가 나중에 튀르크와 타타르 군인들에 의해 발굴되어 프리슈티나 광장 한가운데서 개에게 던져졌다고 보고했다.[16]
카를스루에에 있는 루트비히 바덴의 서류들 중에는 1690년 1월 19일 콘스탄티노플에 있는 영국 대사관의 서기관이 쓴 프랑스어로 된 가로채진 편지 사본이 있다. 그 편지에는 코소보의 "독일인들"이 무기를 돌려 튀르크인들과 싸운 2만 명의 알바니아인들과 접촉했다고 보고되어 있다.[17]
6. 연관된 전쟁
모레아 전쟁은 베네치아 공화국이 오스만 제국을 상대로 벌인 전쟁이다. 1684년 베네치아는 오스만 제국의 약화와 다뉴브 전선 분산을 기회로 삼아 에게 해와 달마티아에서 잃어버린 영토를 회복하고자 전쟁을 일으켰다.[44] 베네치아는 말타 기사단, 사보이 공국, 교황령 등으로부터 군자금과 군사 원조를 확보하고, 작센과 브런스윅 등에서 다수의 용병을 고용하여 전쟁을 준비했다.
러시아-튀르크 전쟁은 러시아 차르국이 오스만 제국을 상대로 벌인 전쟁이다. 러시아는 1687년과 1689년 크림 원정을 조직했지만 패배했다.[21] 그러나 1695년과 1696년 아조프 원정을 통해 아조프를 점령하는데 성공했다.[22]
참조
[1]
서적
Wiedeń 1683
Bellona
[2]
서적
The Cambridge Illustrated Atlas of Warfare: Renaissance to Revolution, 1492-1792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서적
Jan Sobieski, Mit Habsburg gegen die Türken
Styria Vlg. Graz
[4]
서적
Warfare and Armed Conflicts: A Statistical Encyclopedia of Casualty and Other Figures, 1492–2015
McFarland
[5]
서적
Warfare and Armed Conflicts: A Statistical Encyclopedia of Casualty and Other Figures, 1492–2015
McFarland
[6]
서적
Warfare and Armed Conflicts: A Statistical Encyclopedia of Casualty and Other Figures, 1492–2015
McFarland
[7]
서적
The Crusades, Christianity, and Islam
Columbia University Press
[8]
서적
Vienna 1683 [Viyana 1683]
Osprey Publishing
[9]
서적
Venice, Austria, and the Turks in the seventeenth century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10]
서적
The making of modern Europe, 1648–1780
Methuen & Co
[11]
서적
The Islamic world in decline
Praeger Publishers
[12]
간행물
Zbornik Matice Srpske za Istoriju
http://www.maticasrp[...]
Matica Srpska, Department of Social Sciences, Proceedings i History
2011-12-21
[13]
서적
Kulturna riznica Srbije
https://books.google[...]
IDEA
[14]
서적
La question nationale en Europe du Sud-Est : genèse, émergence et développement de l'indentité nationale albanaise au Kosovo et en Macédoine
https://www.worldcat[...]
P. Lang
2008
[15]
서적
Unfinished portrait of a country
https://www.worldcat[...]
East European Monographs
2005
[16]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Albania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0
[17]
서적
Rebels, Believers, Survivors: Studies in the History of the Albanian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0
[18]
웹사이트
Polish-Ottoman War, 1683–1699 and Habsburg-Ottoman War, 1683–1699
http://www.zum.de/wh[...]
[19]
웹사이트
Map
https://tti.abtk.hu/[...]
2024-03-09
[20]
웹사이트
Polish Renaissance Warfare – Summary of Conflicts – Part Eight
http://www.jasinski.[...]
[21]
서적
Sophia, Regent of Russia: 1657–1704
Yale University Press
[22]
서적
Warfare, State and Society on the Black Sea Steppe, 1500–1700
Routledge
[23]
웹사이트
German translation
http://www.tuerkenbe[...]
[24]
서적
The Decline and Fall of the Ottoman Empire
Barnes & Noble
[25]
서적
A Global Chronology of Conflict
ABC-CLIO, LLC
[26]
서적
The Siege of Vienna: The Last Great Trial between Cross & Crescent
[27]
서적
Jan Sobieski
Xlibris
[28]
서적
The enemy at the gate
[29]
서적
Ottoman Wars, 1700–1860: An Empire Besieged
Pearson Education Ltd.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34]
서적
[35]
서적
[36]
서적
Bratislava
[37]
서적
[38]
웹사이트
Polish Renaissance Warfare – Summary of Conflicts (1672–99)
http://www.jasinski.[...]
[39]
서적
The Cambridge Illustrated Atlas of Warfare: Renaissance to Revolution, 1492-1792
Cambridge University Press
[40]
웹사이트
Isaija Đaković
https://web.archive.[...]
Matica Srpska, Department of Social Sciences, Proceedings i History
2011-12-21
[41]
서적
[42]
백과사전
Treaty of Karlowitz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43]
서적
Jihad: Islam's 1,300 Year War Against Western Civilisation
Lulu.com
[44]
서적
The making of modern Europe, 1648-1780
Methuen & Co Lt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